1. 고도비만이란 무엇인가?
체질량지수(BMI :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35이상인 경우를 고도비만이라 하는데 이 환자들은 체형의 변화뿐아니라 여러 가지 합병증(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담석증, 폐쇄성수면성무호흡증, 퇴행성 관절염…등)으로 사망률이 높고 삶의 질이 파괴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고도비만환자의 비수술적 치료(운동요법, 식이요법 및 각종 약물요법) 성적은 양호하지 못하며, 대부분 5년이내에 다시 체중증가를 경험하고 또한 비수술적 치료에 대한 부작용으로 새로운 질병에 시달리기도 한다.
2. 수술대상은 누구인가?
미국에서는 체질량지수가 40kg/m2 이상이거나 심한 수면 무호흡증, 당뇨, 심장질환 등을 동반한 체질량 지수 35kg/m2 이상을 수술대상으로 잡고 있다. 그러나 서양인과 비교해 근육량이 적고 전신비만도는 심하지 않으면서 내장비만과 복부비만이 심한 형태를 띄고 있는 국내 고도비만환자의 수술적응증에 관하여는 논란이 있으나 체질량지수 35kg/m2이거나 체질량지수 30~35kg/m2이면서 심각한 동반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를 수술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나이는 18~16세 사이에 적용하고 있으며, 아울러 환자가 고도비만수술에 대하여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이해가 있어야 하고 또한 의료진에 협조적이어야 한다.
3. 비만수술의 목표
현재 체중에서 이상체중을 뺀 값을 초과체중(EBW)이라 하는데 비만수술 후 체중감소는 초과체중이 감소한 백분율(% EBWL)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비만수술후 50% 이상 감소하여야 성공적인 수술이라고 할 수 있다.
4. 수술방법
음식물 섭취를 제한하는 방법, 소장을 우회시켜 음식물 흡수를 억제 시키는 방법 그리고 언급한 두 가지 방법을 혼합한 절충형등 3가지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형 위밴드설치술, 루와이 우회술, 위소매절제술 및 축소위우회술 등이 있는데 그중 조절형위밴드설치술과 루와이우회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는 대표적인 수술방법이다.
복강경을 이용하여 위의 용적을 20CC정도로 줄일 수 있는 위치에 실리콘 밴드를 돌려 삽입한 뒤 수술 후 조금씩 풍선을 부풀려 서서히 목을 조여 음식 섭취량을 줄이거나(조절형 위밴드 설치술), 위(胃) 일부만 남겨놓고 잘라낸 뒤 음식물이 바로 소장으로 넘어가도록 우회로를 만드는 방법이다(루와이 우회술). 이렇게 하면 음식물을 조금만 먹어도 금방 포만감을 느껴 많이 먹지 못하게 되니까 결국 살이 빠지게 된다.
5. 수술결과
- 수술 후 1년 안에 표준체중이상 분량의 50~80%가 빠진다.
(조절형위밴드설치술 45~55%, 루와이 우회술 60~70%)
- 비만으로 인한 동반질환이 96%에서 사라지거나 개선된다.
특히 제2형당뇨환자의 85%가 비만수술 후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 없이 혈당이 조절되고, 고혈압의 60~70%에서 고혈압약제를 완전히 끊거나 적은 용량으로 혈압조절이 가능해지며 수면 무호흡환자의 85%에서 증상이 좋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6. 수술후 환자관리
고도비만수술을 받은 환자는 수술방법에 관계없이 수술 후 약 3개월 동안은 식사 적응에 어려움을 겪으며 심한 체중 감소로 인하여 단백질 및 영양부족현상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수술 후 적극적인 환자관리가 필요하다. 환자에게 충분히 씹은 다음 천천히 식사하도록 교육하여야 하고 비타민 B12, 비타민D, 철분, 칼슘 등이 부족하지 않도록하며 적정량의 단백질 섭취를 권장하여야 한다. 또 체중 감소에 따라 고혈압, 당뇨 등이 호전되기 때문에 투여하는 약의 용량을 수시로 변경하여야 한다. 고열량의 음료나 스넥을 포함한 간식을 억제하고 세끼 식사를 즐거운 마음으로 먹게하여 허기증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으로 불임을 앓고 있는 여성들은 체중 감소로 임신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급격한 체중 감소시기에는 태아에게도 영양실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피임을 하는것이 좋으며 수술 후 12개월에서 18개월 정도 지나면 임신하여도 무방하다.
7. 맺는 말
고도 비만환자의 유일한 치료방법은 수술인데, 특히 개복술 대신 복강경을 이용함으로써 수술의 만족도와 아울러 보다 높은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잇게 되었다. 개복술식은 복벽을 절개하고 상처당김이를 이용하여 수술 부위에 접근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고도비만 환자의 경우 두터운 복벽과 깊은 복강으로 인해 수술 부위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으며 수술 후에도 복부탈장과 장유착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 그러나 복강경술식은 5~10mm 굵기의 투관침을 삽입하고 이 투관침을 통하여 수술 부위의 시야확보와 수술이 이루어질수있게 됨으로써 훨씬 용이한 접근이 가능해졌다. 또한 복벽탈장과 장유착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수술을 포함한 다각적이고 전문적인 환자에 대한 접근(적절한 통원치료, 영양상담, 운동처방 등)과 환자의 적극적인 의지가 유기적으로 통합되어야만 만족한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서양인과는 달리 아시아인의 식습관은 지방식은 적고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중심으로 한 폭식과 반복된 과식이라는 차별화된 양태를 고려하여 우리에게 적합한 고도비만 수술방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